『畿甸文化硏究』 권별 총목차
제1집(1972) |
朴廣成, 金浦掘浦와 轉漕倉에 對하여 이강로, 인천의 옛이름 買召忽에 대한 어원적 고찰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부천군 덕적면 소야리 방언 孫東仁, 蘇爺島의 傳來童話 趙漢寶, 開港後의 仁川港 貿易動態 -江華島條約締結에서 韓日合邦까지 崔永鎭, 朝鮮時代 京畿地方 牧場考 成耆說, 時急한 民間傳承의 採錄과 그 方法 金良洙, (資料紹介) 景西洞 綠靑磁窯址 -文化財 管理局 指定史蹟 畿甸文化硏究所, 仁川市史 資料 |
---|---|
제2집(1973) |
朴廣成, 浴恩池와 御射臺에 對하여 이강로, 三國史記地理志에 記寫된 買자 연구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 부천군 대부도(大阜島) 방언 - 李光奎, 韓國 農村家族의 構造 - 京畿道 廣州郡 中部面 奄尾里의 資料를 中心으로 - 孫東仁, 大阜島의 傳來童話 김장호, 西海島嶼地方 民謠攷 - 德積島·蘇爺島·大阜島 - 崔永鎭, 朝鮮 初期 京畿地方 農産에 關하여 李慶成, (資料紹介) 仁川市立 博勿館所藏 中國美術品들 金良洙, 仁川港 船渠 築造 - 第2도크 築造 工事 報告 - |
제3집(1973) |
李慶成, 石器時代의 仁川 朴廣成, 丙子亂後의 江華島 防備構築 이강로, 楊平郡 靑雲面의 땅 이름 조사 연구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 가평군 북면 방언 - 孫東仁, 加平郡 北面의 傳來童話 鄭東華, 楊平地方의 民謠攷 - 靑雲面 新論里·龍頭里·多大里·三聖里를 中心으로 - 金良洙, 富平에 남긴 李奎報의 글 崔永鎭, 華城城役 當時 植樹造景에 關하여 趙漢寶, 京畿道 觀光開發의 現況 |
제4집(1974) |
李熙昇, 人間 高裕燮 黃壽永, 又玄 高裕燮선생의 學問 秦弘燮, 又玄先生과 高裕燮, 古代定都의 諸條件과 開城 朴廣成, 凌虛臺에 對하여 盧榮澤, 日帝下 仁川의 靑少年運動에 關한 硏究 이강로, 인천시 남동 출장소 관내 땅이름 조사연구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 양평군 청운면 방언 - 孫東仁, 楊平郡 靑雲面의 傳來童話 김장호, 봉죽타령에 대하여 金良洙, 石湖 佳亭別業 題詠 崔永鎭, 朝鮮時代 京畿地方의 漁獲物에 關하여 |
제5집(1974) |
朴廣成, 七代御鄕에 對하여 金鎭植, 京畿地域 初期 義兵抗爭의 展開 盧榮澤, 開港地 仁川의 日本人 跋扈 이강로, 인천시 남구지역 땅이름의 조사연구 - 남촌·선학·연수·청학·동춘·문학·관교동 -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포천군 군내면 방언 孫東仁, 抱川郡 郡內面의 傳來童話 - 特히 內容面을 中心으로 - 鄭東華, 抱川 地方 民謠攷 - 郡內面 龍斗里·左議里·柳橋里를 中心으로 - 崔永鎭, 道內 別墅 遺址에 關하여 (I) - 廣州 樊翁別墅 - |
제6집(1975) |
朴廣成, 紫燕島攷 金鎭植, 1907~1910年, 京畿地域 義兵抗爭의 性格 趙燦錫, 1920年代 京畿地方의 靑年運動 盧榮澤, 開港地 仁川의 淸國人跋扈 이강로, 안성군 이죽면(二竹面) 당목리·두교리·칠장리의 땅이름 조사연구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안성군 이죽면 방언 孫東仁, 安城郡 二竹面의 傳來童話 - 特히 그 內容面을 中心으로 - 鄭東華, 安城地方의 民謠攷 - 二竹面 두교리·개자리·칠장리를 중심으로 - 李永春, 京畿地方 禮節 調査(I) - 甕津郡 大阜面 仙甘里를 中心으로 - 崔永鎭, 高麗 ·朝鮮時代 道內 養松에 關하여 |
제7집(1976) |
朴廣成, 洋擾後의 江華島 防備策에 對하여 金鎭植, 1894~1897年, 仁川港 民族商人들의 活動 趙燦錫, 1920年代 京畿地方의 小年運動 盧榮澤, 日帝下 日人들의 仁川 侵奪相 이강로, 용인군 모현면(募賢面)의 땅이름 조사 연구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 용인군 모현면 방언 - 孫東仁, 龍仁郡 慕賢面의 傳來童話 - 特히 그 內容面을 中心으로 - 鄭東華, 龍仁地方의 民謠攷 - 慕賢面 일산리·매산리·능원리를 중심으로 - 崔永鎭, 江華特産 사재발쑥(獅子足艾)에 관한 考察 |
제8집(1977) |
朴廣成, 雲揚艦 砲擊事件에 對하여 이강로, 여주군 북내면(北內面) 북부 지역의 땅이름 조사 연구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 여주군 북내면 방언 - 孫東仁, 驪州郡 北內面의 傳來童話 - 特히 그 內容面을 中心으로 - 鄭東華, 驪州地方의 民謠攷 - 北內面 주암리·상교리·서구리를 중심으로 - 李永春, 京畿地方 禮節調査(Ⅱ) - 家庭儀禮準則을 中心으로 - 崔永鎭, 京畿地方産 밤나무에 關한 考察 |
제9집(1978) |
朴廣成, 孫乭項에 對하여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 이천군 설성면 방언 - 孫東仁, 利川郡 雪星面의 傳來童話 - 特히 그 內容面을 中心으로 - 鄭東華, 利川 地方의 民謠攷 - 雪星面 분죽리·추동리·제요리를 중심으로 - |
제10집(1979) |
朴廣成, 正祖의 顯隆園 展拜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 연천군 미산면 방언 - 손동인, 연천군 미산면의 전래 동화 - 특히 그 내용면을 중심으로 - 鄭東華, 連川 地方의 民謠考 - 嵋山面 백석리·유촌리를 中心으로 - 金順濟, 京畿道 連川地方 民謠의 音樂的 分析 |
제11집(1980) |
朴廣成, 仁川開港과 沿岸防備策에 對하여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 강화군 화도면 방언 - 손동인, 강화군 화도면의 전래 동화 - 특히 그 내용면을 중심으로 - 조성선·이현복, 경기도 강화지방의 민속 - 강화군 화도면 장화리를 중심으로 - 鄭東華, 江華島 地方의 民謠考 - 화도면 장화리·여차리를 중심으로 - 김윤학, 강화군 화도면의 땅이름 연구 趙漢寶, 工業化에 따른 仁川地域農業의 變遷에 관하여 |
특집호(1983) |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 평택군 현덕면 방언 - 鄭東華, 平澤 地方의 民謠考 李賢馥, 華城 地方의 傳說 考察 최현섭, 경기도 팔탄면의 금기언 임용기, 팔탄지역어의 음운 변동에 대하여 金順濟, 京畿道 勞動謠의 音樂的 分析 - 江北地方을 中心으로 - 李春善, 半月地域 초파리集團에 보유되어 있는 有害遺傳子 빈도에 관한 硏究 趙燦錫, 仁川市 行政區域의 變遷 - 특히 1883~1945年을 中心으로 - |
제12-13합집(1984) |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 남양주군 진접면 방언 - 조성선, 경기도 남양주군의 민속 - 진접면 일대를 중심으로 - 鄭東華, 南楊州 地方의 民謠攷 - 榛接面 楊地里 梧南里 八賢里 과라리를 중심으로 - 崔賢變, 南楊州郡 榛接面의 禁忌言 임용기, 양주 지방말의 말소리 연구(I) 金順濟, 京畿道 平澤地方 民謠의 音樂的 分析 |
제14집(1985) |
나운영, 홍난파 선생 예찬 손동인, 버려진 옥돌 - 난파 선생님 생가를 다녀와서 -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 광주군 도척면 방언 - 손동인, 광주군 도척면의 전래동화 조성선, 경기도 광주군의 민속 - 도척면 일대를 중심으로 - 정동화, 광주 지방의 민요고 - 도척면 노곡리, 유정1·2리, 궁평리를 중심으로 - 이현복, 광주 지방의 전설고 최현섭, 광주군 도척면의 금기언 임용기, 광주 지방말의 말수(I) 김순제, 경기도 안성지방 노동요의 음악적 분석 |
제15집(1986) |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 김포군 대곶면 방언 - 손동인, 김포군 대곶면 전래동화 조성선, 경기도 김포군의 민속 정동화, 김포군의 민요고 이현복, 김포 지방의 전설고 최현섭, 김포군 대곶면의 금기언 임용기, 광주 지방말의 말수(Ⅱ) 김순제, 경기도 이천 지방 일노래의 음악적 분석 박호남, 함허당 득통의 현정 사상 연구 |
제16집(1987) |
남억우, 김순제 교수 정년 기념 특집호 간행에 붙여 손동인, 푸른 대를 보았는가 - 냉천 김순제 교수 정년 퇴임 식전에 - 장사훈, 김순제 교수의 정년 퇴임에 붙이는 말 조한보, 김순제 교수의 정년 퇴임을 아쉬워하면서 양진모, 냉천 김순제 교수의 학문적 업적 김기태, 나의 영원한 스승님 박영만, 교대인의 영원한 스승 김순제, 우리나라 뱃노래의 갈래별 분포 설성경, 서해안 어업민속에 나타난 임장군신 최범훈, 경기도 근대 지명어 연구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파주군 문산읍 방언 손동인, 파주군 문산읍 전래동화 조성선, 경기도 파주군의 민속 정동화, 파주군의 민요고 이현복, 파주 지방의 전설고 최현섭, 파주군 문산읍의 금기언 임용기, 광주 지방말의 말수(Ⅲ) 박호남, 회암사 화상 나옹의 무생법 연구 |
제17집(1988) |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 고양군 원당읍 방언 - 손동인, 고양군 원당읍의 전래동화 조성선, 경기도 고양군의 민속 - 원당읍 일대를 중심으로 - 정동화, 고양 지방의 민요고 - 원당읍 신원1,2리를 중심으로 - 이현복, 고양 지방의 전설고 최현섭, 경기도 고양군 벽제읍·원당읍의 금기언 임용기, 광줏말의 자리 토씨 - 중부 방언학을 위한 기초 연구 - 김순제, 인천 무가의 음악적 분석(Ⅰ) - 해변 중심으로 - |
제18집(1989) |
이일철, 조한보·손동인 교수님의 정년퇴임기념에 부쳐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 양주군 광적면 방언 - 손동인, 양주군 광적면의 전래동화 분석 고찰 조성선, 경기도 양주군의 민속 - 광적면 일대를 중심으로 - 정동화, 양주지방의 민요고 이현복, 양주지방의 전설고 최현섭, 양주군 광적면·백석면의 금기언 임용기, 광줏말의 도움·이음·특수 토씨 문광영, 양평군 양서면의 땅이름 연구 김순제, 시선에 대한 고찰 양진모, 경기지역 구전동요의 장단 분석 김기태, 프랑스 소장의 우리 전적들의 연원에 관한 고찰 구자혁, 인천 향교고 조찬석, 인천직할시 행정기구의 변천 - 특히 1883~1945년을 중심으로 - 문동규, 인천체전과 인천체육고(Ⅳ) - 제69회 대회를 중심으로 - 송종헌, 수도권 위성도시에 관한 소고 오영태, 옹진군 재정자립도에 관한 연구 조한보, 유일한의 기업윤리 |
제19집(1990) |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 시흥시 목감동 지역 방언 - 손동인, 시흥시 일대의 전래동화 분석 연구 조성선, 경기도 시흥군의 민속 정동화, 시흥지방의 민요 - 목감동, 거모동, 신관동을 중심으로 - 이현복, 시흥시의 전설고 최현섭, 시흥시의 금기언 임용기, 광줏말의 마침법 씨끝 문광영, 시흥시 목감동 지역의 땅이름 조사 연구 김순제, 줏대소리에 대한 음악적 고찰 박준교, 청소년의 음악성향에 관한 실태조사 연구 - 인천, 경기지역 고등학생 및 근로청소년을 중심으로 - 양진모, 경기지역 구전동요의 장단과 붙임새 문동규, 전국체전과 인천체육고(Ⅴ) - 고희대회를 중심으로 - 김용필, 부평사 - 한말에서 현재까지의 관할구역 변천을 중심으로 - 송종헌, 수도권 위성도시의 형성, 발달과 그 기능에 관한 소고 - 자연발생적 사례를 중심으로 - |
제20집(1991) |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영종도의 방언 손동인, 인천시 영종도의 전래동화 연구 조성선, 영종도의 민속 정동화, 인천시 영종도지방의 민요 이현복, 인천지방 전설고 - 영종도를 중심으로 - 최현섭, 영종도의 금기언 문광영, 용유도의 땅이름 조사연구 박광성, 인천항의 조계에 대하여 김순제, 배치기에 관한 고찰 문동규, 전국체전과 인천 체육고 김윤우, 마리산의 독음에 관한 고찰 송종헌, 신도시 개발의 전개양상과 그 진단 |
제21집(1992) |
宋鍾憲, 首都圈 衛星都市의 形成과 發達 - 時期別 分布와 特性을 中心으로 - 李琬河, 仁川地域의 觀光産業 開發의 基礎調査 - 永宗島를 中心으로 - 沈璡求, 富川市와 甕津郡의 敎育發展史 金秀南·林暎得, 京仁地方의 蘭草科 植物 文東奎, 全國體典과 仁川體育攷(7) - 第72回 大會를 中心으로 - 양진모, 창작 활동을 통한 한국음악의 언어 형성에 관하여 - 경인 지역 전래 동요의 구성음과 형식 구조를 중심으로 - 조성선, 인천직할시의 민속 - 고잔동·논현동 일대를 중심으로 - 정동화, 인천지방의 민요고 - 남동구 논현동·도림동·고잔동을 중심으로 - 최현섭, 인천직할시 남동구의 금기언 김계곤, 경기도 방언 채집 - 인천직할시 소래(蘇萊)지역 방언 - 趙燦錫, 富平地域 行政區域 變遷과 各洞의 由來 - 특히 1883年 以後 仁川直轄市 北區를 中心으로 - (부록) 기전문화연구소 창립 20주년 기념 세미나 발표요지 - 경인 지역 향토 문화 연구의 회고와 전망 - |
제22-23집(1994) |
김용필, 부평의 정치발전 吳英泰, 富平地域의 地方行政體制 變遷에 관한 硏究 具滋赫, 富平鄕校考 文東奎, 仁川에서 開催된 全國體典의 考察 - 第45回, 第59回, 第64回를 中心으로 - 정문성, 경기 지역 청소년 비행 실태 조사 연구 李根鐵, 江華島의 宗敎文化 考察 李時鎔, 江華敎育史(1) 최현섭, 利川郡 栗面의 禁忌言 金鎭植, W.G. 호스킨스의 地方史理論 韓冕熙, 地域 硏究의 統合的 接近 - 社會科學 分野를 中心으로 - |
제24집(1996) |
최현섭, 江華郡 華道面의 禁忌言 이현복, 강화도 전설고(Ⅰ) - 화도면, 길상면, 양도면, 불은면을 중심으로 - 문광영, 강화도 외포리 고창굿 연구 임용기,《조선지지자료》와 부평의 지명 이창덕, 옛 부평 지방의 방언연구 金容弼, 富平의 未來에 關하여 趙燦錫, 1920年代 京畿地方의 靑年運動에 관한 一硏究 |
제25-26집(1998) |
정동화, 畿甸文化硏究의 回顧와 展望 조관성, 후설 철학에서 개체와 공동체 그리고 윤리적 사회성 한면희, 사회과 지역 사회 자료 DB 연구 개발의 기본 방향 - 인천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송종헌, 富平의 地域性 考察 한진수, 1990년대 인천 및 경기 지역의 노동 시장 - 서울 및 전국과의 비교 분석 - 김용찬,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의식 조사 연구 - 서해 5도 지역의 교원, 학생, 학부모들을 중심으로 - 정문성, 접경 도서지역 청소년의 발달심리적 특성과 가치관 연구 이창덕, 서해 5도 지방의 방언 연구 최현섭, 大靑島 大延坪島의 금기언과 그 교육적 활용 김창원, 서해 5도 지역의 민요에 대한 교육적 고찰 황병훈, 백령도 민요 연구 이현복, 西海 5島 傳說攷(Ⅰ) -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를 중심으로 - 이근철, 西海 5島 宗敎文化의 敎育的 接近 문광영, 서해 5도서 민속과 그 교육적 활용 방안 조찬석, 서해 5도서(백령, 대청, 소청, 연평, 소연평) 지역의 땅이름에 관한 조사 연구 |
제27집(1999) |
이근철, 영흥-대부도의 종교문화 고찰 이현복, 대부도 지방의 전설고 최현섭, 大阜島-濟扶島의 금기언 김영희, 대부도, 제부도, 영흥도의 향토음식에 관한 연구 김철자, 인천에서의 여성운동 조찬석, 옛 부평지역의 땅이름에 관한 조사연구 - 특히 부평구를 중심으로 - 송종헌, 京畿地域 觀光資源의 分布와 開發에 관한 考察 |
제28집(2000) |
이현복, 류청산, 기전 지역의 전설 자료를 이용한 인성 교육용 CD-Title의 개발과 활용 방안 김철자, 영흥도 지방의 제사와 상례 절차 조찬석, 대부도 및 제부도의 땅 이름에 관한 조사연구 강석화, 조선후기의 경기남부 해로와 大阜-靈興島 김기태, 江華島 鼎足山史庫의 保存經緯에 관한 考察 |
제29-30합집(2002) |
조찬석, 인천광역시 계양구 지역의 땅이름에 관한 조사연구 송종헌, 지형경관으로 본 강화지역의 풍토 김기태, 조선사고(史庫)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이시용, 개화기의 경기교육에 관한 고찰 임용경, 강화도 지역 초등학생들의 지역 정체성에 관한 연구 박인기, 문화연구의 교육적 기획과 접근 - 기전문화연구소 발전 전략 측면에서 - 정문성, 경인지역 초등학생의 교과에 대한 태도 강석화, 비변사등록 소재 교동관련 자료 모음 |
제31집(2004) |
문광영-류청산, 인천도서지역의 세시풍속에 관한 CD-Title의 개발과 활용방안 구정화, 경인지역 청소년의 의복 소비 연구 박기화, 경기도의 영어 교육 현장 연구 분석 박인기, 신화적 서사의 해석과 교육적 활용 오기성, 인천광역시 초등교사의 인식을 통해 본 학교 통일교육의 방향 이재용, 체육에서의 적절한 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 경기도 및 인천 지역 중심으로 - 정문성, 인천의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김창현, 고려중기 윤언이의 사상과 파주 金剛- |
제32집(2005) |
김진식, H.P.R 핀버그의 지방사 이론 이시용, 개화기 인천교육에 관한 고찰 송종헌, 공간변천에 의한 지역성 고찰 - 인천광역시 서구의 경우 - 김영기, 이종재, 인천경제자유구역 학습을 위한 사이버 교육시스템 연구 김영희, 인천시 가정폭력의 실태 및 개선방안 모색 김용찬, 세계화-지방화시대 교육과정 지역화의 현황과 과제 김 호, 1683년(숙종9) ‘太祖’의 諡號 加上 과정 연구 강석화, 백두산 정계비와 간도문제 김세은, 자료해설: 경기도 화성군 소재 隆健陵의 造成과정과 《[獻敬惠嬪]顯隆園園所都監儀軌》 |
제33집(2006) |
김용찬, 지방자치시대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 제도적 고찰 한진수, 고용 없는 성장과 경기도의 과제 구정화, 가정내 성차별이 초등학생의 성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강선주, 역사 수업에서 자료 활용 능력 신장을 위한 유물-유적 활용 방안 설규주, 경인지역 초등교사와 교생의 교육실습 운영 및 환경에 대한 인식 조사 유미희, 근대 경기(京畿)의 학교무용교육 고찰 - 개화기에서 1945년까지 - 김 호, 檢案을 통해 본 100년 전 영종도의 풍경 - 1906년 영종도 전소면에서 발생한 조문주 사건을 중심으로 - |
제34집(2008) |
조성산, 農巖 金昌協의 學問과 그 政治的 意味 이경구, 17세기 후반 농암 김창협의 脫俗과 참여 의식 김지영, 農巖 天機論의 문화사적 의의 김태년, -論思辨錄辨-의 浩然之氣論에 대한 고찰 김호, 農巖 金昌協의 역사적 이해 정문성, 안양시 교육환경 실태 조사 연구 강선주, 박물관 활용 역사 수업 방안 |
제35집(2009) |
전종한, 소지역 단위의 지역역사지리학 연구 시론: 부평 지역의 사례 김 호, 朝鮮後期 湖洛論爭의 역사적 전개 한진수, 안양시의 상업 발달사 김학희, 지리교육의 소재로서 현대 미술 구정화, 초등 사회과 쟁점 토론수업을 시작하는 교사의 교수 행위에 관한 사례 연구 박약우, 지구어로서의 영어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
제36집(2010) |
전종한, 근·현대 인천의 경관 변화와 공간 구조의 변모 한진수, 안산시의 건설업과 정보 통신업 발달사 구성훈, 남북한 초등 지리교육내용 비교 연구 김수영, 도서지역 초등학생의 공간인지 특성연구 - 인천 소재의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 장은정, 신채호의 아나키즘에 투영된 민족 개념 |
제37집(2016) |
김혜정, ‘경기민요’의 장르적 구분과 음악적 특성 1 전종한, 지역역사지리학의 관점에서 본 ‘역사부평’의 문화경관과 지역 정체성 이희환, ‘반공도시’ 인천의 탄생과 굴절 - ‘평화도시 인천’ 모색을 위한 시론적 검토 - 임동윤, 속칭 ‘부평’의 공식 지명 변동과 거주공간의 변화: 부평구와 계양구를 중심으로 이영태, 옛 한시(漢詩)에 나타난 ‘부평과 계양’ 지역의 풍경 서민철, 인천의 초기 국가산업단지의 형성 과정과 산업집적지의 특성 |
제38권 제1호(2017) | 남호엽, 부생육기(浮生六記)에 나타난 나하(那覇) 지역의 장소와 경관 임동윤, 인천의 생활공간 변화와 지명의 특징 - 원(原) 인천을 중심으로 - 권선정, 전통도시 읍치(邑治)를 통해 본 지역역사지리의 구성 - 충남 예산군을 사례로 - 김순배. 문화·언어 이론의 지리적 독해와 실천: 지명연구의 문화정치적 접근을 중심으로 이명희, 명·청 시대 북경성과 북경 고지도 |
제38권 제2호(2017) | 전종한, 가칭《경기역사지도집》의 체재 구성과 편찬을 위한 시론 이차희, 경기도 이천시 산수유마을을 통해 본 경관정체성 형성 최진성, 주류성의 장소성과 백강의 지리적 인접성 권선정, 역사문화 경관 및 장소를 통한 지역역사지리의 구성 - 충남 부여군을 사례로 - 한진수, 수도권 거주 성인의 금융 이해력 원두희, 일제강점기 근대 관광지로서의 금강산 한송이, 세계유산교육의 연구 및 실천 동향과 최근 쟁점 |
제39권 제1호(2018) | 홍금수, 일제강점기 전통 계획도시 수원의 지역구조 재편 - 식민통치를 위한 공간의 생성(生成)과 장소의 전용(轉用) - 박준홍, 도시생태관광 자원으로서 길동 생태공원의 특성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임인재, 평안도 공립소학교의 설립과 학교비 분쟁 (1896~1905) 민운기, 인천의 공유자산과 인천시의 도시정책 김혜정, 민요에서의 ʻ아리ʼ 사용 양상과 아리랑의 범주 확장 이희환, 인천의 독립운동가 범주 설정과 향후 연구의 과제 |
제39권 제2호(2018) | 특집: 부평 문화권의 지역 정체성과 지역인문학 전종한, 지역 정체성에 기반 한 지역인문학의 융성에 관한 연구: 부평 문화권의 사례 권선정, ʻ부평(富平)ʼ 지명의 역사지리적 변천 최진성, 부평 지역 종교경관의 장소성 - 천주교와 감리교를 중심으로 - 조정규, 부평 지역 근대경관의 보존에 관한 쟁점 강석화, 신미양요와 강화도 방위체제의 변화 |
제40권 제1호(2019) | 김순배, 기전(畿甸) 지명고(地名攷) 권선정, 조선후기 부평부(富平府) 고지도 상 지명의 유형과 의미 최진성, 근대 이전 우리 땅의 종교 지명 - 『1872년 지방지도』를 중심으로 - 전종한, 땅이름의 탄생과 소멸 그리고 대체: 지명 명명의 정치학 김혜정, 전북 진안군 마령면 민요의 음악적 특징과 지리적·장르적 접변양상 |
제40권 제2호(2019) | 특집: 전통도시 읍치의 지역인문학 - ① 조선후기 부평부의 읍치 경관과 지역 정체성 최진성, 근대이행기 부평도호부 읍치의 도로망 특성과 변천 권선정. 조선후기 부평부(富平府) 풍수적 공간구성 조정규, 근대이행기 부평도호부 읍치의 토지이용과 소유의 변화 전종한, 조선후기 부평도호부 읍치경관의 복원 김 호, 화이관(華夷觀)의 충돌, 18세기 중엽 조선과 일본의 사상 간극 권태경, 한국현대사 수업에서 지역 구술 자료의 활용 임인재, 1960년대 인천도시산업선교회의 활동과 조지 오글 |
제41권 제1호(2020) | 특집: 전통도시 읍치의 지역인문학 - ② 전주부 읍치의 장소 기억 그리고 경관 변화 조정규, 일제강점기 전주 읍성의 토지이용과 도시 공간 변화 최진성, 근대이행기 전주 읍치의 장소성 변화 권선정, ʻ왕실본향ʼ으로서 전주의 장소성과 풍수적 배치 전종한, 조선후기 전주부 읍치경관의 일반성과 고유성 서민철, 수도권 인구 집중과 인구 이동의 패턴 |
제41권 제2호(2020) | 특집: ‘미래형 학교 교육’의 관점으로 본 한국 농산어촌 지역의 재조명 김위정·정해진·김승준·이승연, 농어촌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희경, 학교공간 재구조화를 통한 농어촌 학교 발전 방안 - 세종시의 사례 - 김권호, 전남 농어촌 학교 실태와 발전 방향, - ‘전남형 미래학교’ 추진을 통한 지역의 지속가능성 모색을 중심으로 - 이형빈, 농어촌지역 소규모학교 초중등 연계 교육과정 운영 방안 서민철, 지역균형 정책과 진천의 산업 발전 이장열, 한국 대중음악 중심 장소로서 부평 연구 이요한, 예산 지역의 장소성(場所性) 변천에 관한 일고찰 허은철, 중등 교육과정에서 지역사 교육의 변천과 방향모색 김 호, 조선후기 유배인의 서간(書簡) 토론 - 다산 정약용과 손암 정약전의 교류를 중심으로 |
제42권 제1호(2021) | 전종한, 조선후기 부평도호부 관아 지구의 경관 복원 이희환, 권구(拳球, 찌푸, 찜뿌, 찜뽕) 연구 조정규, 추어탕의 장소성에 대한 연구 한진수, 수도권 거주자의 재무관리와 금융 지식 실태: 비수도권 거주자와의 비교 김혜정, 경기도 <새쫒는 소리>의 전승 양상과 교육적 활용 방안 이선영, 능동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지리과 교수학습을 위한 제언 장의선, 미래형 교육을 위한 민주시민성의 주요 지표와 세부 역량 배한진·강석화, 행주대첩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제고 방안 |
제42권 제2호(2021) | 이희환, 베트남전쟁이 인천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연구 윤소록, 서해 중부해역의 수중발굴 성과와 연계 교육 방안: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을 중심으로 최진성, 근대이행기 군산 원도심의 종교적 장소성 권선정, 풍수를 통해 본 읍치(邑治) 사직단의 입지와 배치 - 부평 사직단을 매개로 - 황금연,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의 전라남도 지도군 지명 고찰 - 한자와 한글 대응 지명을 중심으로 - 서민철, 진천군 충북혁신도시로의 인구 이동 특성 김철호, 혐오사회에서 노자철학의 의미 임인재, 대한제국기 함경남도 사립학교 설립운동의 전개 김 호, ‘유교헌정론’과 조선의 모색, 하나의 시론 |
제43권 제1호(2022) | 김세호, 손돌목의 유래와 공간적 의미의 문헌적 검토 이희환, 개항 이후 일본인 극장의 전국적 확산과 지역 문화장 – 일본인 소유 극장 목록 작성을 중심으로 - 김수정, 외국인 근로자들이 경험하는 취약성에 관한 연구 - 농업 부문 외국인 근로자의 배치 과정과 근로 및 주거 환경을 중심으로 - 전종한, 조선후기 정조의 지리책문(地理策問)과 다산 정약용의 지리대책(地理對策) Wonseob Song, Looking Koreans’ Sense of Self Formation through the Cultural geography of a Local-lineage-based-village of Korea |
제41권 제2호(2022) | 특집: 한국의 근대유산 - ① 인천육군조병창과 부평의 근대도시경관 전종한, 한국 근대유산의 인식 및 활용을 둘러싼 입장과 쟁점- 일제강점기 인천육군조병창의 사례 - 박명식, 부평 조병창의 역사적 상징성과 유산 가치 이장열, 군수산업복합기지로서 인천육군조병창의 특징과 한국 전쟁기의 전략적 위상 정유천, 부평 삼릉(三稜)과 신촌(新村)이 한국대중음악사에 미친 영향 서민철, 2015년 이후 수도권 재집중: 인구, 제조업, 국가 최진성, 근대이행기 전통도시 읍치의 종교적 장소성 변화 - 공주와 대구를 사례로 - 조정규, 일제강점기 초기 청주면의 근대도시적 공간형성 – 토지이용과 소유를 중심으로 김종혁, 지지 편찬의 전통과 변질, 그리고 계승을 위한 노력 |